Article
  • Development of Porous Cellulose-Hydrogel System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Quercetin and Rutin
  • Lee MH, Kim SJ, Park SN
  • Quercetin과 Rutin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 제형 개발
  • 이민혜, 김수지, 박수남
Abstract
In this study, the porous cellulose hydrogel as a carrier to enhance the skin delivery of quercetin and its glycoside, rutin known as flavonoid antioxidants was prepared and its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cellulose hydrogel for quercetin and rutin was made by the reaction of 2 wt% cellulose with 12% ECH. In the release test of the hydrogel containing the flavonoids, the release of quercetin was diffusion-controlled at 10~500 μM, but rutin was released by the erosion of hydrogel system at 10~50 μM. Both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and release amount of rutin in hydrogel were higher than quercetin. However, in skin permeation experiment using Franz diffusion cell, quercetin showed higher skin permeation capacity than rutin. The hydrogel containing flavonoids showed remarkable transdermal permea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rous cellulose hydrogel is potential drug delivery system to enhance transdermal permeation of water-insoluble flavonoid antioxidants.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인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rutin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달체로 다공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Quercetin과 rutin을 위한 최적의 하이드로젤을 가교제인 12% epichlorohydrin(ECH)과 2% 셀룰로오스를 반응용액으로 하여 만들었다. 플라보노이드 함유 하이드로젤의 방출실험에서, quercetin의 방출은 10~500 μM 농도에서 확산 속도에 영향을 받았으나, rutin의 경우는 비교적 낮은 농도(10~50 μM)에서 하이드로젤의 침식에 의한 방출이 지배적이었다.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하이드로젤의 포집효율과 방출량은 quercetin보다도 rutin에서 모두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피부 투과 실험에서 quercetin이 rutin보다 1.2배나 더 큰 피부 투과능을 나타냈다. 플라보노이드 함유 하이드로젤은 대조군인 20% 1,3-butylene glycol phosphate buffer에서보다도 더 큰 경피 투과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난용성 항산화제인 플라보노이드의 피부 흡수 증진 전달체로서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이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cellulose; hydrogel; quercetin; rutin; transdermal delivery.

  • Polymer(Korea) 폴리머
  • Frequency : Bimonthly(odd)
    ISSN 0379-153X(Print)
    ISSN 2234-8077(Online)
    Abbr. Polym. Korea
  • 2022 Impact Factor : 0.4
  • Indexed in SCIE

This Article

  • 2013; 37(3): 347-355

    Published online May 25, 2013

  • 10.7317/pk.
  • Received on Nov 22, 2012
  • Revised on Nov 30, -0001
  • Accepted on Jan 22, 2013

Correspondence to

  • E-mail: